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시그마 측정단계 DMAIC 15 STEP

by 정보통신원2 2021. 9. 13.

오늘은 삼성그룹의 DMAIC 15 STEP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 시그마 측정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총 5가지의 프로세스로 나누어지게 되며 세부 추진 STEP을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Define(문제도출)
2. Measure(현상 분석)
3. Analyze(원인 파악)
4. Improve(개선)
5. Control(표준화)

 

1. Define(문제 도출)

 Step 1. 프로젝트 선정

  프로젝트 선정과정에는 5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biz. issue 확인, 프로젝트 도출, 프로젝트 선정, CTQ 정의, 문제 도출 및 리뷰의 과정이 있습니다.

 Step2. 프로젝트 정의

  프로젝트 정의에는 4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추진배경, 문제 및 목표 기술, 효과 산정, 프로젝트 범위, 일정, 팀 선정 등이 있습니다.

 Step 3. 프로젝트 승인

  프로젝트 승인 단계에서는 2가지 과정이 있습니다. 첫째로, 프로젝트 목표 기술서 작성과 프로젝트 등록 및 승인 과정이 있습니다.

 

2. Measure(현상 분석)

 Step 4. Y's의 확인

 Y's의 도출 과정과 CTQ와 Y의 관계 파악, Y의 결장 및 성과 기준 설정 이렇게 총 3 간계의 과정이 있습니다.

 Step5. 현 수준 확인(파악)

 현 수준 확인하는 데에는 3가지 과정이 있으며, 첫째로, data 수집, 두 번째로 공정 능력 분석, 세 번째로 개선 방향/ 목표 설정 과정이 있습니다.

 Step6. 잠재 원인 변수(X's) 발굴

 잠재 원인 변수를 발 구하는 데는 3가지 과정이 존재합니다. 측정대상 서정, 측정 계획 수립, 측정 시스템 검증 이렇게 3가지 과정이 있습니다.

 

3. Analyze(원인 파악)

 Step 7. data수집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는 데이터 유형 확인과 샘플링/데이터 수집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Step8. data 분석

 8번째 단계는 데이터 분석이며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확인과 분석(정성적/정량적) 과정으로 나누어집니다.

 Step9. Vital Few X's 선정

 Vital Few X's 선정 과정에서는 첫째로 Vital Few 목록 작성과, 경제성 분석/확인, Vital Few X's 우선순위화 과정이 있습니다.

 

4. Improve(개선)

 Step 10. 개선안 수립

 개선안 수립 과정에는 Vital Few X's 특성 구분과 개선계획 수립 과정이 있습니다.

 Step11. Vital Few X's 최적화

 스텝 11 과정에서는 대안 창출/ 실험 계획, 최적 조건 도출, 최적 대안 선정 이렇게 3가지 과정이 존재하게 됩니다.

 Step12. 결과 검증

 결과 검증을 위해서는 검증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파일럿 계획과 실행 그리고 재현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5. Control(표준화)

 Step13. 관리계획 수립

 관리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개선 결과에 대한 위험성 평가와 실수 방지, 관리계획 수립 및 표준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Step14. 관리계획 실행

 관리계획 실행 과정에서는 X's의 모니터링, 관리도 선정, 성과 모니터링으로 단계가 진행됩니다.

 Step15. 문서화/공유

 마지막 단계인 문서화/공유 단계에서는 성과 파악, 현업 이관, 차기 추진 프로젝트 도출, 승인 및 완료보고, 공유/전파(문서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삼성그룹의 DMAIC 15 Step을 크게 5가지 프로세스로 나누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편에서는 세부적으로 5가지 과정을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